DGIST, 차세대 메모리 에너지효율 높일 반강자성체 제어기술 개발 > 실시간

본문 바로가기


실시간
Home > 건강 > 실시간

DGIST, 차세대 메모리 에너지효율 높일 반강자성체 제어기술 개발

페이지 정보

김범수 작성일21-05-17 16:14

본문

↑↑ DGIST 신물질과학전공 홍정일 교수. 사진제공=DGIST   

[경북신문=김범수기자]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이하 DGIST)이 차세대 메모리에 적용되는 반강자성체에 기계적인 진동을 가해 자기정렬을 제어하는 기술을 최초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기존의 이진법을 뛰어넘는 멀티레벨 컴퓨터 기반 차세대 메모리 소자 등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1990년대부터 자성체를 활용한 스핀트로닉스 전자공학이 본격 도입되면서 더 많은 정보의 저장 및 처리가 가능한 차세대 메모리 및 정보처리 소자가 개발되고 있다.

스핀트로닉스는 자성체의 자기 상태를 전기적으로 제어해 정보를 처리하고 저장하는 기술이다. 기존의 실리콘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보다 훨씬 빠르고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이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메모리인 ‘스핀 메모리’를 포함한 다양한 스핀소자는 강자성체와 반강자성체의 결합 구조로 돼있다.

일반적으로 강자성체의 내부 자기 배열상태는 똑같은 방향으로 배열돼 있어 외부자기장을 이용해 원하는 자기정렬 상태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제어가 용이하다.

하지만 반강자성체의 내부 자기 배열상태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되어 있어 외부자기장에 의한 제어가 어렵다.

이 때문에 반강자성체 제어를 위해서는 현재까지 주로 열과 자기장을 이용해 원자들을 원하는 자기정렬 상태로 만드는 교환바이어스 설정법이 사용돼 왔다.

복잡한 프로세서를 가진 소자들의 특성상 특정 부위만을 제어하기 어렵고 원하지 않는 다른 물성들이 손상이 일어나는 단점 때문에 열 제어의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DGIST 홍정일 교수 연구팀은 열을 가하지 않고 기계적 진동을 이용해 원자 결정 구조의 미세 변형을 가해 원자간 자기 결합의 변화를 유도했다.

연구팀은 전압을 가하면 형태가 바뀌는 압전물질로 구성된 기판 위에 반강자성체로 된 박막을 덧씌웠다.

여기에 교류전압을 통한 기계적 진동을 주면 압전물질의 변형이 일어남과 동시에 덧씌운 반강자성체 박막에 진동이 전해지면서 내부 자기배열상태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또 이를 반복적으로 인가(印加)해 자기 결합 상태를 재설정할 수도 있음을 추가로 알아냈다. 

연구팀이 최초 개발한 이번 공정은 기존의 열을 이용한 방법보다 국소부위에 적용이 가능하고 상온에서도 적용 가능해 에너지 효율면에서 훨씬 유리하다.

또 반복된 작동으로 인해 자기정렬도가 떨어진 소자의 재설정이 가능해 소자의 기능회복을 통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됐다.

홍 교수는 “기존 교환바이어스 설정법의 단점과 한계를 극복한 새로운 설정 방법을 제시해 반강자성체의 스핀트로닉스 활용 가능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며 “향후 지속적으로 반강자성체의 제어 메카니즘을 이해하고 개발해 스핀 신소재 연구를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는 DGIST 신물질과학전공을 졸업한 김현중 박사(현 표준과학연구원 재직)가 제1저자로 참여했으며 재료과학분야의 최고권위지인 Acta Materialia에 지난 15일자 지면판으로 게재됐다.
김범수   news1213@naver.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울릉·독도 신문. All rights reserved.
뉴스출처 : 경북신문 (www.kbsm.net)